Peace BAR Festival

Peace BAR Festival은 국제학술회의와 다양한 행사를 결합하면서 미래문명의 길을 모색하는 지구촌 평화 축제다. Peace BAR Festival에서 BAR는 spiritually Beautiful, materially Affluent, humanly Rewarding이란 의미로, ‘정신적으로 아름답고 물질적으로 풍요로우며 인간적으로 보람 있는’ 지구공동사회를 함께 만들자는 뜻을 담고 있다.
Peace BAR Festival의 전신은 세계평화의 날 기념 국제학술회의다. 경희는 제1회 세계평화의 날을 기념해 1982년 9월 ‘현대사회의 위기와 국제평화’를 주제로 국제평화학술회의를 개최했다. 그 후 세계평화의 날 기념 국제학술회의는 단독 행사로 매년 개최되다가 2004년부터 Peace BAR Festival로 확대 발전했다. 경희의 UN 평화공원 건립 계획이 UN으로부터 승인받은 것을 기념하면서 국제학술회의와 평화 축제를 결합한 Peace BAR Festival을 개최하기 시작한 것이다.
Peace BAR Festival은 2007년 이후에는 21세기 문명사적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보다 보편적이고 철학적인 명제로 주제를 심화 발전시켰다. 행사 프로그램도 국제회의, 문화예술 공연, 학생 포럼, 사회봉사 등으로 구성하여 종합적인 형태를 갖추었다.
경희는 학술의 지구적 실천과 대학의 공적 봉사를 통해 평화로운 인류사회를 모색해왔다. 평화 담론의 또 다른 가능성을 찾으려는 경희의 노력은 Peace BAR Festival을 통해 오늘도 계속되고 있다.
개최 현황
-
2011년
몸과 재앙: 문명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서
The Body and Catastrophe: Towards a New Utopia
2011.10.28(금) ~ 11.01(화), 경희대학교브로슈어
-
2008년
미래문명, 미래대학: 지식과 실천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
Future Civilization, Future University: A New Horizon for Knowledge and Praxis
2008.11.05(수) ~ 07(금), 경희대학교, 신라호텔브로슈어 -
2007년
전환적 도전: 새로운 인성과 공동체를 찾아서
Transformative Challenges: In Search of New Humanity and Community
2007.11.07(수) ~ 09(금), 경희대학교, 신라호텔브로슈어 -
2006년
21세기 보편의 재발견: 자유와 평등을 넘어서
Reinventing Universality for the 21st Century: Beyond Freedom and Equality
2006.10.26(목) ~ 28(토), 경희대학교, 롯데호텔(소공동)브로슈어 -
2005년
이념 이후의 시대: 21세기 대안문명을 말한다
After Ideology: The 21st Century Talks
2005.11.11(금) ~ 12(토), 경희대학교, 신라호텔, 워커힐호텔브로슈어 -
2004년
평화를 위한 긴급 과제: 테러리즘의 극복
Urgent Tasks for Peace: Overcoming Terrorism
2004.7.01(목) ~ 03(토), 경희대학교브로슈어 -
2003년
Neo-Renaissance를 통한 지구공동사회 건설
Building a Global Common Society Through Neo-Renaissance
-
2002년
Pax UN을 통한 지구공동사회 건설
A Global Common Society Through Pax UN
-
2001년
문명간 대화를 통한 지구공동사회를 지향하며
Toward a Global Common Society Through Dialogue Among Civilizations
-
2000년
21세기에 있어서의 세계통합
Global Governance in the 21st Century
-
1999년
21세기에 평화는 가능한가?
Will World Peace Be Achievable in the 21st Century?
-
1998년
새로운 천년을 향한 세계적 비전: 현대문명과 그것을 넘어서
Global Visions Toward the Next Millennium: Modern Civilization and Beyond
-
1997년
21세기의 현실과 비전: 동아시아의 역할
Vision and Realities in the 21st Century: The Role of East Asia
-
1996년
세계공동체를 위한 평화전략과 21세기에 있어서 UN의 역할
Peace Strategies for Global Community and the Role of the UN in the 21st Century
-
1995년
관용, 도덕과 인간성회복
Tolerance, Restoration of Morality, and Humanity
-
1994년
도덕과 인간성회복
Restoration of Morality and Humanity
-
1993년
동북아시아의 평화: 지역협력을 지향하며
Peace in the Northeast Asia: Toward Greater Regional Cooperation
-
1992년
21세기의 민주주의와 새로운 세계질서
Democracy and New International Order in the 21st Century
-
1991년
새로운 국제질서: 21세기의 탈이데올로기 세계
New World Order: The Post-Ideological World in the 21st Century
-
1990년
동서 관계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세계질서에 대한 추구
The Search for a New World Peace Order with Reference to the Changes in the East-West Relations
-
1989년
동서 간의 갈등을 초월한 평화: 1990년대에 있어서의 동북아시아의 안전과 세계평화
Peace Beyond the East-West Conflict: Northeast Asian Security and World Peace in the 1990s
-
1988년
동북아시아 시대 그리고 21세기에 있어서의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의 역할
The North-East Asian Era and the Role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21st Century
-
1987년
변화하는 국제환경과 1980년대 후반의 한반도
The Chang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1980s
-
1986년
국제 갈등의 원인과 그 해결 방안에 대한 추구
Search for Causes of International Conflicts and Ways to Their Solutions
-
1985년
UN: 그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U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
1984년
UN을 통한 세계평화
World Peace Through the UN
-
1983년
세계평화: 그것은 가능한가?
World Peace: Is It Possible?
-
1982년
현대사회의 위기와 국제평화
Crisis and Peace in Contemporary World
-
안내
- 미래문명원
- 02-961-0995
- gafc@khu.ac.kr